[문과 코린이의 IT기록장] 컴퓨터 구조 - 2.(1) ~ 2.(3) [서론, 하드웨어 연산, 피연산자]
[문과 코린이의 IT기록장] 컴퓨터 구조 - 2.(1) ~ 2.(3) [서론, 하드웨어 연산, 피연산자] 0. 들어가기에 앞서 (진수 변환하기, 연산자 간단 이해하기) 문제 ) (1) 32476 : 2진수 변환, 8진수변환, 16진수 변환, 음수 변환하기 (2) 48765 : 2진수 변환, 8진수변환, 16진수 변환, 음수 변환하기 (3) (1), (2) : & / | / ^ 계산하기 (4) 3.7647 : 이진수로 변환하기 1. 서론 - 컴퓨터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키려면 하드웨어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말을 해야함. - 컴퓨터 언어에서 단어(어셈블리어)를 명령어라 하고, 그 어휘를 명령어 집합구조라 함. - 이 장의 명령어 설명은 하향식(top-down)으로 이..
[문과 코린이의 IT기록장] 컴퓨터 구조 - 4.3. 데이터패스 만들기
- 데이터패스 구성요소 : 프로세서 내에서, 데이터를 가지고 연산하거나,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유닛 cf) MIPS구현에서는 데이터패스 구성요소에, 명령어 메모리, 데이터 메모리, 레지스터 파일, ALU, 덧셈기 등이 포함된다. * 앞의 4.2까지의 논리회로는 데이터패스를 보여주기 위한 쉬운사례 1. 데이터패스 구성요소 (메모리 유닛 - PC - ALU) - 명령어를 저장하고 접근하는데는, 두 개의 상태소자가 필요하며,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덧셈기가 하나 필요하다. a. Instruction Memory :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저장하고, 주소가 주어지면 해당 명령어를 보내주는 메모리 유닛 b. Program Counter : 현재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인 PC(Program..